Surprise Me!

[앵커리포트] 14개월 만에 재개된 공매도...'동학개미' 영향은? / YTN

2021-05-03 0 Dailymotion

주식을 빌려서 판 뒤 주가가 떨어지면 해당 주식을 사서 되갚는 투자 기법 <br /> <br />주가 하락을 예상하고 주식을 빌려서 판 뒤 주가가 떨어지면 해당 주식을 사서 되갚는 투자 방식인 공매도. <br /> <br />사실상 외국인이나 기관 투자자들만 사용하는 투자 방법인데요. <br /> <br />시장 왜곡이나 주가 폭락의 배경으로 지목돼 왔죠. <br /> <br />지난해 초, 코로나19 위기로 주가가 폭락하면서 공매도가 금지된 이후 1년 2개월 만에 해제됐습니다. <br /> <br />그동안 금융당국과 이른바 '동학 개미'로 불리는 개인투자자 사이엔 줄다리기가 이어져 왔습니다. <br /> <br />애초 6개월간 금지됐다가 추가로 6개월이 연장됐고, 개인 투자자들의 반발에 선거를 앞둔 정치권에서도 논란이 가열된 끝에 결국, 추가로 다시 연장되는 우여곡절을 겪었습니다. <br /> <br />개인 투자자들은 줄곧 공매도 폐지를 요구해왔습니다. <br /> <br />[정의정 / 한국주식투자자연합회 대표 : 대형 종목 공매도 재개로 지수가 하락하면 지수 연동 상품에 연계되어서 중소형 종목도 하락 태풍권에서 벗어날 수 없습니다. 공매도 세력이 계속 개인투자자 재산을 쉽게 가져가는 구도를 혁파하지 못하는 미봉책입니다.] <br /> <br />하지만 정부는 공매도의 순기능을 이유로 완전 폐지는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해왔고요, <br /> <br />결국, 오늘부터 코스피 200개 종목과 코스닥 150개 종목 등 350개 종목에 한해 공매도가 재개되는 절충안이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코스피 200 종목 수는 전체의 22%에 불과하지만 시가총액은 전체의 88%를 차지하고요, <br /> <br />코스닥 150도 주식 수는 전체의 10%지만 전체 시총의 절반에 이릅니다. <br /> <br />유통 주식 수가 많은 대형주들이 모두 포함돼 있다 보니 공매도 재개로 영향을 받는 투자자가 많을 수밖에 없습니다. <br /> <br />당장 주가 하락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는데요 <br /> <br />그렇다면 과거 공매도 재개 당시엔 어땠을까요? <br /> <br />2008년 금융위기 당시 8개월간 금지됐던 공매도는 재개되고 한 달 뒤 코스피와 코스닥 모두 소폭 하락했지만 3개월 만에 코스피는 14% 상승했고 코스닥도 낙폭을 줄였습니다. <br /> <br />2011년 유럽 재정위기 때도 마찬가지였습니다. <br /> <br />3개월간 공매도 금지 기간을 거친 뒤 재개됐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두 지수는 상승세로 돌아섰습니다. <br /> <br />과거 두 사례에서 볼 수 있듯 여파는 오래가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엔 어떨까요? <br /> <br />전문가의 전망 들어보시죠. <br /> <br />[정철진/ 경제평론가 : 가장 중요한 것이 공매도를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10503143847229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